카테고리 없음

JPA 까먹지 말자! (2)

머룽 2023. 4. 23. 14:05
오늘은 저번시간에 이어서 JPA 까먹지 말자! (2) 를 시작해보자. JPA라 했지만 구현체는 hibernate 기준으로 설명하니 다른 구현체들은 조금씩 다를 수도 있으니 참고하면 되겠다. 또한 종종 hibernate 이야기도 있을 수도 있다.

@GeneratedValue strategy

JPA에서는 @GeneratedValue 어노테이션의 strategy 속성으로 기본키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직접 기본키를 생성해주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자동생성 전략도 나쁘지 않게 생각된다. 필요하다면 비지니스 키를 따로 만들어서 직접 생성해주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JPA에서는 기본키의 전략이 3가지가 있다. TABLE, SEQUENCE, IDENTITY 전략이다. AUTO 전략도 있지만 AUTO는 해당 벤더에 따라 위의 세가지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3가지의 전략은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근데 이때 알아야 할 것은 기본 키 전략이 IDENTITY 일경우에는 쓰기 지연이 동작하지 않는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Accoun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Account() {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account.setName("wonwoo");
 entityManager.persist(account);
}

위와 같이 작성할 경우에는 entityManager.persist(account) 이 메서드를 호출 할때 바로 insert 쿼리라 작성되어 DB에 날라간다. 하지만 TABLE전략이나 SEQUENCE 전략은 Transaction이 끝나고 flush 혹은 commit이 호출 될 때 insert 쿼리가 만들어져서 날라 가게 된다. 그 이유는 아마 데이터베이스에서 ID를 가져와야 하므로 insert 쿼리라 먼저 만들어져서 DB에 날라가는 것 같다. 만약 쓰기 지연 효과를 얻고 싶다면 TABLE 또는 SEQUENCE 전략으로 설계를 해야 한다.

@Basic LAZY

JPA 에서는 @Basic 어노테이션이라는 것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사용할 일이 없기 떄문이다.. 기본 타입을 말하는 건데. 굳이 쓰지 않아도 암시적으로 JPA가 이거슨 기본타입이라고 설정해 주기 때문이다.
public class Account {

 @Id
 @GeneratedValue
 @Basic
 private Long id;

 @Basic
 private String name;

}

public class Accoun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위의 코드는 암묵적으로 동일하다. 그런데 우리는 기본타입을 Lazy 로딩 할 수 있다. @Basic 어노테이션에는 fetch 속성이 존재한다. @OneToMany@OneToOne 기타 매핑하는 어노테이션에서 사용하는 fetch와 동일하다.
@Basic(fetch = FetchType.LAZY)
@Lob
private String content;
위와 같이 fetch 속성에 FetchType을 LAZY 설정해 주면 된다. 그럼 실제 content가 사용 될때 쿼리가 작성되어 날라간다.
Account account = entityManager.find(Account.class, 1L);
System.out.println(account.getContent()); //LAZY
실제 쿼리를 보면 아래와 같다.
select
 account0_.id as id1_0_0_,
 account0_.name as name3_0_0_
from
 account account0_
where
 account0_.id=?

select
 account_.content as content2_0_
from
 account account_
where
 account_.id=?
위 처럼 content를 사용할 때 한번 더 쿼리를 날린다. 근데 사용할 일이 있을까 싶다. content의 크기가 어마어마하게 크면 모를까.. 근데 바로는 되지 않고 설정을 조금 해야한다. 여러방법이 있는 것 같은데 그 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은 메이븐을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plugin을 작성해야 한다.
<plugin>
 <groupid>org.hibernate.orm.tooling</groupid>
 <artifactid>hibernate-enhance-maven-plugin</artifactid>
 <version>${hibernate.version}</version>
 <executions>
  <execution>
   <configuration>
    <failonerror>true</failonerror>
    <enablelazyinitialization>true</enablelazyinitialization>
   </configuration>
   <goals>
    <goal>enhance</goal>
   </goals>
  </execution>
 </executions>
</plugin>
근데 설정을 좀 잘해야 될거 같다. 다른 프록시들과 조금 꼬이는 듯하다. 만약 사용할 경우에는 다른 프록시들이 잘되는지 테스트를 많이 해봐야 될 것 같다.

Criteria

요즘의 개발자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겠지만 (필자 역시도 요즘개발자라) 예전 개발자분들은 익숙한 클래스일 듯 싶다. 요즘 Criteria 보다는 훨씬 쉬운 Querydsl 이라는게 있어 대부분이 Querydsl을 사용하지 Criteria를 사용하지는 않는 것 같다. Criteria와 Querydsl은 동일하게 JPQL을 편하게 작성하도록 만든 빌더 클래스들이다. Criteria는 JPA표준이고 Querydsl은 비표준이지만 훨씬 간단하고 알아보기 좋고 쉽다. 하지만 이런게 있다고만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CriteriaBuilder builder = entityManager.getCriteriaBuilder();
CriteriaQuery<account> criteria = builder.createQuery(Account.class);
Root<account> root = criteria.from(Account.class);
criteria.select(root);
criteria.where(builder.equal(root.get("id"), 1L));
Account account = entityManager.createQuery(criteria).getSingleResult();
위와 같이 조금 어렵다. 뭔가 많은 작업을 해야 된다. 그리고 조금 알아보기도 힘든 것같다.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가? 그래도 사용하고 싶다면 사용해도 된다. JPA 표준이니까. 이것의 장점은 타입세이프해서 좋은 것 같다. 물론 root.get("id") 이 부분도 타입세이프하게 만들 수 있다. 참고로 spring data jpa 에서도 Criteria를 사용한다. 당연히 그래야 했을 거고 그럴꺼라고 생각했다.

Proxy

JPA에서는 바로 쿼리를 날려서 가져오는 find 메서드와 나중에, 해당 객체를 사용할 떄 가져오는(Lazy) getReference 메서드가 존재한다.
Account account = entityManager.find(Account.class, 1L);
Account account1 = entityManager.getReference(Account.class, 2L);
위와 같이 딱 두줄만 코드를 작성했을 때 쿼리는 몇번 날아갈까? 정답은 한번이다. getReference 메서드를 사용할 때는 실제 쿼리를 날리지 않고 프록시 객체만 전달 된다. 왜 그럼 굳이 proxy 객체만 전달하는 getReference 를 만들었을까? 예를들어 연관관계를 맺을 경우 account의 엔티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물론 account의 엔티티들을 사용한다면 프록시 객체가 필요 없겠지만 단지 연관관계를 맺을 목적이라면 굳이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날릴 필요가 없다. 그럴 경우 이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면 된다.
Account account = entityManager.getReference(Account.class, 2L);
Address address = new Address();
address.setAddress("seoul");
address.setAccount(account);
entityManager.persist(address);
위와 같이 작성했을 경우 insert 쿼리 한번만 데이터베이스에 날라가게 된다. 좀 더 성능적으로 최적화를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라면 정말 좋은 기능이지 않나 싶다. 참고로 다른 JPA의 구현체들은 어떤 프록시를 사용하는지 모르겠지만 hibernate 경우에는 javassist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글을 쓰는 기준으로 최신버전인 5.3.7 버전은 bytebuddy로 proxy를 변경하였다. 아마도 5.3 이후부터 bytebuddy로 변경한 듯 싶다. 요즘에 code generation 으로 bytebuddy 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다. 또한 Spring data jpa 프로젝트에서도 해당 메서드를 사용가능하다. 현재 버전은 findById 이전버전은 findOne 메서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바로 조회했다면 getOne 메서드로 해당 프록시 엔티티를 가져올 수 있다.

FlushMode

hibernate 경우에는 FlushMode 6가지 정도 지원하는데 JPA 스펙에는 2가지가 있다. 하이버네이트 API를 사용한다면 6개 모두 사용할 수 있겠지만 JPA API만 사용한다면 2가지 타입만이 존재한다. COMMITAUTO 가 JPA에서 지원해주는 FlushMode 타입이다. 일반적으로 JPA는 트랜잭션이 commit 되기 직전에 flush도 자동으로 된다. 또 한가지 자동으로 flush 가 될 때가 있는데 그때는 jpql이나 쿼리를 날릴 때 자동으로 flush가 호출 된다. jpql이나 쿼리를 작성해서 날릴 때 flush 되는 설정이 FlushMode.AUTO 설정이다. 이것은 JPA의 기본값이다. 굳이 아래처럼 명시해주지 않아도 된다.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account.setName("wonwoo");
entityManager.setFlushMode(FlushModeType.AUTO);
entityManager.persist(account);
entityManager.createQuery("select a from Account a", Account.class).getResultList();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할 경우 insert 쿼리는 jpql 쿼리를 날리 전에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날라간다.
insert
 into
account
 (content, name, id)
values
 (?, ?, ?)

select
 account0_.id as id1_0_,
 account0_.content as content2_0_,
 account0_.name as name3_0_
from
 account account0_
만약 AUTO가 아닌 COMMIT으로 했을 경우에는 insert 는 commit 되고 날라가고 그전에 jpql이나 쿼리가 먼저 날라간다. 그래서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entityManager.setFlushMode(FlushModeType.COMMIT);
아래는 FlushMode를 COMMIT으로 했을 떄 쿼리이다. select 쿼리가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날라갔다.
select
 account0_.id as id1_0_,
 account0_.content as content2_0_,
 account0_.name as name3_0_
from
 account account0_

insert
 into
account
 (content, name, id)
values
 (?, ?, ?)
쿼리를 날릴때 마다 매번 flush를 하지 않아 성능은 더 좋겠지만 원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니 상황에 맞게 고민을 해서 사용하면 되겠다.

@NamedQuery

필자는 잘은 사용하지 않지만 사용하면 나쁘지 않은 기능이다. 정적쿼리를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한 어노테이션이다. 매번 동일한 쿼리를 작성하지 않고 해당 Name만 지정해줘서 쿼리를 날리면 된다.
@Entity
@NamedQuery(name = "findByname", query = "select a from Account a where name = :name")
public class Account {
  //...
}
위와 같이 @NamedQuery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정적 쿼리를 만들 수 있다. 아주 심플하다. 근데 많으면 보기 불편할거 같다.
List<account> accounts = entityManager.createNamedQuery("findByname", Account.class)
  .setParameter("name", "wonwoo")
  .getResultList();
매번 같은 쿼리를 작성하지 않고 해당 name만 작성해서 쿼리를 날릴 수 있으니 재사용성도 있다. 만약 여러개를 작성하고 싶다면 @NamedQueries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된다.
@Entity
@NamedQueries({
  @NamedQuery(name = "findByname", query = "select a from Account a where name = :name"),
  @NamedQuery(name = "findByEmail", query = "select a from Account a where email = :email")
})
public class Account {
  //...
}
이것은 JPA2.1 기준이며 JPA 2.2부터는 좀 더 간편하게 @NamedQuery 어노테이션만 이용해도 된다.
@Entity
@NamedQuery(name = "findByname", query = "select a from Account a where name = :name")
@NamedQuery(name = "findByEmail", query = "select a from Account a where email = :email")
public class Account {
}
@NamedQuerie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것보다 @NamedQuery를 사용하는 것이 더 보기에 좋아 보인다. 하지만 JPA 2.2 부터 지원하니 그 전 사용자라면 @NamedQueries를 사용해야 한다. 오늘은 이렇게 JPA에 관련해서 두번째 시간을 가져봤다. 물론 필자도 JPA를 잘 사용하지 못한다. (나도 잘사용하고 싶다고오오..) 계속계속 사용해야 하는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