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ata jpa 의 json
오늘은 spring data jpa를 사용하여 json을 출력해보는 포스팅을 하겠다.
글로버 페치 전략에 즉시로딩이 아닌 지연로딩을 사용하면 영속성 상태가 아닐 경우 데이터를 가져올 때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open session in view 이하 osiv를 사용하는데 messageconverter일 경우 즉 json일 경우 그래도 에러가 발생한다.(연관관계가 양방향 일 경우)
jackson에서 에러는 내뿜는듯 하다. 계속 순환하는거 같다.
필자가 모르는거 일수도 있다.
그래서 고민하기 시작했다. 흠!
방법은 몇가지 있다.
@JsonIgnore, @JsonBackReference, @JsonManagedReference 혹은 JSON Filter, 와 @JsonView
현재까지 알아본 결과 위와 같다.
다른 방법은 나중에 설명 하도록 하고 이번 시간에는 dto를 만들어서 해보겠다.
dto(data transfer object)란 말그대로 데이터가 이동하는 객체다.
일단 소스로 보자 boot기준이다.
...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version>1.16.6</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modelmapper</groupId>
<artifactId>modelmapper</artifactId>
<version>0.7.5</version>
</dependency>
...
일단 dto가 정신사납지 않게 lombok은 필수로 하자
object을 mapping 시키는? 말이 맞나? 아무튼 modelmapper를 메이븐에 등록하자.
그래야 코드가 깔끔해진다. 물론 java8을 써야.
Account class
@Entity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ccount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ACCOUNT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account")
private List<Orders> orders;
}
딱히 없다 테스트를 하느라 OneToMany도 같이 넣어놨다. oneToMany의 기본페치 전략은
LAZY
다. 또한 ManyToMany도 마찬가지다.
orders class
@Data
@Entity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order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ACCOUNT_ID")
private Account account;
}
여기도 Account 클래스와 동일하다. ManyToOne의 기본페치 전략은 즉시로딩이다. OneToOne도 마찬가지다.
AccountRepository class
@Repository
public interface Accoun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Account, Long> {
}
일반적인 Repository 클래스다. 따로 설명은 안하겠다.
AccountDto class
public class AccountDto {
@Data
public static class Account{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
dto 클래스를 만들었다. AccountDto에 한개의 inner class로 만들었다. 물론 여러개가 될수 있다. 저게 테스트 용도라 필드가 얼마 없지만
만약 많다면 getter setter가 어마어마 할 것이다. 그런데 lombok을 써서 관심사를 집중 할 수 있다. 아무튼!
modelmapper를 쓰기 위해 빈으로 등록하자
@Bean
public ModelMapper modelMapper() {
return new ModelMapper();
}
AccountController class
@RestController
public class Account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AccountRepository accountRepository;
@Autowired
private ModelMapper modelMapper;
@RequestMapping(value = "/accounts")
public List<AccountDto.Account> accountList() {
List<Account> accounts = accountRepository.findAll();
return accounts.stream().map(account -> modelMapper.map(account, AccountDto.Account.class))
.collect(toList());
}
@RequestMapping(value = "/account/{id}")
public AccountDto.Account account(@PathVariable Long id){
Account account = accountRepository.findOne(id);
return modelMapper.map(account, AccountDto.Account.class);
}
}
간단한 테스트용도라 서비스르 없애버렸다. spring boot의 기본전략이 open session in view를 적용한 듯하다. 그래서 서비스계층을 없앴다.
modelmapper로 기존 account를 accountDto로 변경하여 뷰로 보내줬다.
이러면 뷰에선 id와 name만을 볼 수 있다.
글쎄다. 뭐가 좋은지 어떤게 효율적인지는 필자도 잘 모르겠다.
그때그때 상황을 봐가면서 상황에 맞게 하는게 나을지도 모른다.
JPA 책을보면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페치 전략을 LAZY하는게 성능에 좋다고 한다.
위에서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방법은 적어놨으니 한번 살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