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pring boot의 ApplicationContext
    카테고리 없음 2023. 4. 18. 12:31

    Spring boot ApplicationContext

    인터넷을 보다보니까 좋은 자료가 있어 한번 보게 되었다. Spring ApplicationContext 스터디 하는 그룹인데 아라한사님도 여기 계신다. 보다보니 Spring boot는 어떤식으로 되는지 궁금했다. Spring boot는 기본적으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을 사용하고 있다. Web이라면 AnnotationConfigEmbeddedWebApplicationContext을 사용한다. 물론 둘다 아무 설정이 안되어 있을때 이야기다.
    protected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createApplicationContext() {
        Class<?> contextClass = this.applicationContextClass;
        if (contextClass == null) {
            try {
                contextClass = Class.forName(this.webEnvironment
                        ? DEFAULT_WEB_CONTEXT_CLASS : DEFAULT_CONTEXT_CLASS);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
                "Unable create a default ApplicationContext, "
                    + "please specify an ApplicationContextClass", ex);
            }
        }
        return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BeanUtils.instantiate(contextClass);
    }
    
    이렇게 보면 알 수 있다. 그런데 인스턴스를 바로 생성하기 때문에 register(annotatedClasses) 빈의 메타정보를 담는 이 메소드를 호출 하지 않는다. 아니면 java 설정 중 register(annotatedClasses)을 명시적으로 호출해 줘야하는데... 메인이 되는 클래스를 설정해야되는데..어디서하지? 어딘가엔 있을거라고 장담하고 찾아봤다. SpringbootApplication 클래스에 보면 createAndRefreshContext 함수가 있다. 여기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 함수인듯 하다. 여기서 load라는 함수를 따라가보면 계속 load다. 계속 load 만 따라가면 된다. 찾았다 요놈
    private int load(Class<?> source) {
        if (isGroovyPresent()) {
            // Any GroovyLoaders added in beans{} DSL can contribute beans here
            if (GroovyBeanDefinitionSource.class.isAssignableFrom(source)) {
                GroovyBeanDefinitionSource loader = BeanUtils.instantiateClass(source,
                        GroovyBeanDefinitionSource.class);
                load(loader);
            }
        }
        if (isComponent(source)) {
                   //잡았다 요놈
            this.annotatedReader.register(source); 
            return 1;
        }
        return 0;
    }
    
    register 함수를 따라가보면 마지막 registerBean라는 메소드가 있는데 BeanDefinitionReaderUtils.registerBeanDefinition(definitionHolder, this.registry); 요놈이 빈의 메타 정보를 저장하는놈이다. 아마 저기 링크 걸어둔 곳에 자세히 나와있다. 그리고 createAndRefreshContext 메소드에 refresh 메소드도 호출 하고 있다. 그래서 한번 따라가봤다. refresh에서 많은 일을 하고 있다. refresh에 invokeBeanFactoryPostProcessors를 따라가 보았다. 복잡하다..ㅜㅜ
    PostProcessorRegistrationDelegate.invokeBeanFactoryPostProcessors(beanFactory, getBeanFactoryPostProcessors());
    
    안으로 들어가서 약 100 번째줄에
    invoke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s(priorityOrderedPostProcessors, registry)
    
    이런 메소드가 존재한다. 계속따라가보면 따라가기 힘들다.
    for (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 postProcessor : postProcessors) {
        postProcessor.postProcessBeanDefinitionRegistry(registry);
    }
    
    구현체는 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로 가면된다. 함수 맨 밑에 가면 processConfigBeanDefinitions 메소드가 있는데 여러작업을 한다. 순서를 정렬하고, @Configuration 클래스도 파싱하는 듯하다. 그중에 parser.parse(candidates) 메소드는 ComponentScan 하는곳을 찾을수 있다. 따라가보자 parse -> processConfigurationClass -> doProcessConfigurationClass 여기 설정 클래스들이 모여있다. 이쁘게 주석도 해놨다. @Import, @Bean, @ImportResource, @PropertySource등을 찾아서 메타정보를 등록한다. doProcessConfigurationClass 함수는 재귀호출하는듯 하다. 스캔대상의 클래스들을 하나씩 다 조사한다. 그리고 configurationClasses에 Map으로 설정클래스랑 클래스에 설정된 빈(BeanMethod), 기타 다른 설정 빈들이 담아둔다. invokeBeanFactoryPostProcessors 뭔가 많은 일은한다. 복잡복잡 여기 안에서 BeanFactoryPostProcessor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 의 구현체들도 호출한다. 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 먼저 호출 되고 그다음에 BeanFactoryPostProcessor 호출 된다. ConfigurationClassPostProcessor 도 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의 구현체다. 순서에 따라 각각 세번정도 호출 되는거 같다.(PriorityOrdered, Ordered)
    private static void invoke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s(
            Collection<? extends 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 postProcessors, BeanDefinitionRegistry registry) {
    
        for (BeanDefinitionRegistryPostProcessor postProcessor : postProcessors) {
            postProcessor.postProcessBeanDefinitionRegistry(registry);
        }
    }
    
    refresh의 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 Instantiate all remaining (non-lazy-init) singletons. 주석으로 이렇게 되어있다. 아마 인스턴스 안된 빈들을 이때 인스턴스화 하는거 같다.(Lazy 객체가 아닌 것만) 이렇게 Spring boot는 Application의 관리 및 설정에 관하여 알아봤다. 인스턴스화 하는건 저기 링크에 가보면 자세히 나와있다! 링크참조! 필자의 개인적인 공부기에 틀릴 수도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어렵다. 머리좋은놈들이 만들어서 ㅜㅜ

    댓글

Designed by Tistory.